•피해자활동 홍보물 작업 및 가피모 카페지기
•2015년 피해자 최초 피해질환 데이터 작성
•국회 간담회, 토론회, 국회 특위, 특별법 입법 등 과거(3, 4단계 피해자) 피해자 문제 개선 입장 전달[폐질환 피해단계폐지, 재난에 준하는 지원 및 정부 공표, 전국병원 네트워크화로 트라우마센터 및 피해자의 병원선택권 존중, 전신, 질환별 피해인정, 피해지원 세분화-의료/생계/주거/교육, 교육부 출결 및 피해 아동 상황에 따른 재활 병행 교육지원, 모니터링 대상확대, 산정특례 시스템 반영으로 피해자 질병코드 등록하여 병원 현장서 지원 가능토록 요구, 협조 필요한 복지부,교육부 이행관리 위해 대통령직속 총괄 요구]
•2016 SK,애경,옥시 불매운동인증 릴레이
•과거(3.4단계) 피해 단계 폐지 요구 및 정부 폐질환기준 외의 전신피해로 확대
•2016년 공정위에 SK케미칼, 애경의 인체무해, 안전 표시광고법위반 신고, 2017, 2022 재조사 통해 거짓,과장(인체무해,안전)광고 처분(검찰고발,과징금 등)
•2017년 문재인 대통령 피해자 면담 (피해 아동,청소년 교육부 출결지원 요구 및 시행)
•2018년 MBC스트레이트 방송, CMIT.MIT 연구 반영, 검찰 재수사 계기마련
•2018년 UN 특별보고관 Baskut Tuncak에 정부와 SK케미칼, 애경, 이마트 등의 가습기살균제 피해 책임 방치, 방관에 대해 재검토, 정부 답변 확인 요청
•사참위 다수 조사신고(질본,환경부,공정위,교과부,SK케미칼,애경, 초기 판정 및 조사참여자 등)
•2019년 권익위 가습기살균제 공익침해행위로 공익신고 인정(2016년 공정위 표시광고법위반 신고도 공익침해행위로 공익신고 인정)
•2019년 공익신고 내용 기자회견
•2022년 9월 29일 헌법소원 위헌 결정
•2023년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진료(의료진) 길라잡이
•2023년 공수처에 공정위 공무원 고발 및 SK, 애경 다수 고발 및 수사자료 각 수사,재판에 제출
•피해자활동 홍보물 작업 및 가피모 카페지기
•2015년 피해자 최초 피해질환 데이터 작성
•국회 간담회, 토론회, 국회 특위, 특별법 입법 등 과거(3, 4단계 피해자) 피해자 문제 개선 입장 전달[폐질환 피해단계폐지, 재난에 준하는 지원 및 정부 공표, 전국병원 네트워크화로 트라우마센터 및 피해자의 병원선택권 존중, 전신, 질환별 피해인정, 피해지원 세분화-의료/생계/주거/교육, 교육부 출결 및 피해 아동 상황에 따른 재활 병행 교육지원, 모니터링 대상확대, 산정특례 시스템 반영으로 피해자 질병코드 등록하여 병원 현장서 지원 가능토록 요구, 협조 필요한 복지부,교육부 이행관리 위해 대통령직속 총괄 요구]
•2016 SK,애경,옥시 불매운동인증 릴레이
•과거(3.4단계) 피해 단계 폐지 요구 및 정부 폐질환기준 외의 전신피해로 확대
•2016년 공정위에 SK케미칼, 애경의 인체무해, 안전 표시광고법위반 신고, 2017, 2022 재조사 통해 거짓,과장(인체무해,안전)광고 처분(검찰고발,과징금 등)
•2017년 문재인 대통령 피해자 면담 (피해 아동,청소년 교육부 출결지원 요구 및 시행)
•2018년 MBC스트레이트 방송, CMIT.MIT 연구 반영, 검찰 재수사 계기마련
•2018년 UN 특별보고관 Baskut Tuncak에 정부와 SK케미칼, 애경, 이마트 등의 가습기살균제 피해 책임 방치, 방관에 대해 재검토, 정부 답변 확인 요청
•사참위 다수 조사신고(질본,환경부,공정위,교과부,SK케미칼,애경, 초기 판정 및 조사참여자 등)
•2019년 권익위 가습기살균제 공익침해행위로 공익신고 인정(2016년 공정위 표시광고법위반 신고도 공익침해행위로 공익신고 인정)
•2019년 공익신고 내용 기자회견
•2022년 9월 29일 헌법소원 위헌 결정
•2023년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진료(의료진) 길라잡이
•2023년 공수처에 공정위 공무원 고발 및 SK, 애경 다수 고발 및 수사자료 각 수사,재판에 제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