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살균제 피해지원 종합포털
닫기
서브 메뉴
자세히보기
정책 제안&소통 ※ 본 게시판은 정책 관련 게시판이므로 개인적인 문의는 Q&A 게시판을 이용 부탁드립니다 .
  • 법 · 제도 개선 , 인정기준 개선 , 지원분야 확대 등 분야별 정책에 대하여 정책 제안 및 의견 제시 , 관련 질의 등을 위한 게시판입니다 .
  • 본 게시판에 작성된 주요 의견을 취합하여 답변을 작성·게시하고 있으며, 제시해 주신 소중한 의견을 토대로 제도 개선 등 올바른 정책 추진에 힘쓰겠습니다.
  •    (※ 불건전한 내용, 근거없는 비방, 개인정보 적시, 광고 등의 내용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196
정책 제안&소통 게시판입니다. 번호, 분야,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정보를 제공합니다.
번호 분야 제목 공개여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196 법·제도 분야 1,835명 합의안 금액을 6,176명 피해자의 배상 기준으로 일체 참조하거나 마지노선으로 설정 금지. 회원공개 김** 2025-06-16 87
195 법·제도 분야 가해부처 환경부는 8,011명의 권리를 보호하고 존중하기 위한 배보상 지원법 재개정에 중요한 모든 사안들의 의견을 정책에 무조건 수용하여 반영할 구체적인 절차를 마련할 것. 회원공개 김** 2025-06-09 66
194 지원분야 확대 약이 없어요 회원공개 이** 2025-05-27 60
193 법·제도 분야 “가해부처 환경부의 통계 조작과 불공정 정책을 규탄하며 ‘배보상·지원법’ 전면 재개정을 촉구한다!” 회원공개 김** 2025-05-26 33
192 법·제도 분야 현행 구제제도는 등급 외·미인정 피해자들을 철저히 버리고, 형편없는 의료비와 요양생활수당으로 장기적 치료와 생계를 보장하지 못한다. 환경부는 이 한계를 고치지 않고, 미응답자 포함 반대, 기타 3,758명에게 “기존 제도에 남아라”며 사실상 고통 속 죽음을 강요한다. 이는 “합의하거나 생지옥에서 버텨라”는 살인적 협박이다! 14년간 사망자 유가족들 과 피해자들을 짓밟아 온 가해부처 환경부의 배신은 이제 악마적 범죄의 정점을 찍고 있다! 악마적 갈라치기와 중상모략: 회원공개 김** 2025-05-26 52
191 기타정책분야 단체합의 관련 설문조사 회원공개 장** 2025-05-25 66
190 법·제도 분야 가습기살균제참사 심각한 불공정 문제 미응답 3,448명(다수)의 의견을 아예 없는 피해자 취급하며 무시하고 추진되는 상황! 회원공개 김** 2025-05-25 35
189 법·제도 분야 응답률이 낮은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집단 합의’를 밀어붙인다면, 피해자 간 갈등과 신뢰 붕괴는 불가피하다. ‘또 다른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서 정부는 진정 피해자를 위한 제도를 만들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문제의 ‘정리’를 위한 정무적 선택을 하고 있는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피해자 대다수의 동의 없는 합의는 새로운 사회적 논란과 분열만 낳을 뿐이다. 피해자의 동의는 ‘숫자’가 아니라 ‘신뢰’ 위에 세워져야 한다. 지금 필요한 건 조속한 마무리가 아니라, 상처받은 사람들의 목소리에 진심으로 귀 기울이는 ‘사회적 책임의 자세’다. 회원공개 김** 2025-05-23 30
188 법·제도 분야 36.3% 응답률은 대표성 없는 쓰레기 데이터!가해부처 환경부의 “84% 동의”는 30.6%에 불과한 거짓 프레임! 사기극을 멈추고 정의를 세워라 회원공개 김** 2025-05-23 26
187 법·제도 분야 구제급여 항목 확대(배보상, 의료·생계· 사회적 피해배상 및 지금의 부실한 심리 지원말고 제대로 된 심리지원 포함)와 금액 상향 없이는 어떠한 합의도 국가정부와 가해부처들 그리고 살인 가해대기업들의 이익만 보장하는 범죄입니다. 회원공개 김** 2025-05-08 134
대표전화 1833-9085 구제바로
환경부 KEITI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우)03367 서울시 은평구 진흥로 215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별관2층 가습기살균제피해종합지원센터